한국 인터넷 관광의 날

2016.10.08 – 2016.10.08
SeMA 비엔날레 미디어시티서울 2016 《네리리 키르르 하라라》 워크숍 「한국 인터넷 관광의 날」. 작가: 강이룬 & 고아침 & 소원영. 참여자: 김기창(고려대학교), 오가현, 윤종수(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이수빈(국민대학교 〈오픈 페미니즘〉), 진달래(페미디아), 최승준(국민대학교). 도큐멘테이션: 차민지(라플스국제디자인학교). 서울시립미술관. 2016. 10. 08. 사진: 김익현, 홍철기
SeMA 비엔날레 미디어시티서울 2016 《네리리 키르르 하라라》 워크숍 「한국 인터넷 관광의 날」. 작가: 강이룬 & 고아침 & 소원영. 참여자: 김기창(고려대학교), 오가현, 윤종수(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이수빈(국민대학교 〈오픈 페미니즘〉), 진달래(페미디아), 최승준(국민대학교). 도큐멘테이션: 차민지(라플스국제디자인학교). 서울시립미술관. 2016. 10. 08. 사진: 김익현, 홍철기
SeMA 비엔날레 미디어시티서울 2016 《네리리 키르르 하라라》 워크숍 「한국 인터넷 관광의 날」. 작가: 강이룬 & 고아침 & 소원영. 참여자: 김기창(고려대학교), 오가현, 윤종수(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이수빈(국민대학교 〈오픈 페미니즘〉), 진달래(페미디아), 최승준(국민대학교). 도큐멘테이션: 차민지(라플스국제디자인학교). 서울시립미술관. 2016. 10. 08. 사진: 김익현, 홍철기
SeMA 비엔날레 미디어시티서울 2016 《네리리 키르르 하라라》 워크숍 「한국 인터넷 관광의 날」. 작가: 강이룬 & 고아침 & 소원영. 참여자: 김기창(고려대학교), 오가현, 윤종수(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이수빈(국민대학교 〈오픈 페미니즘〉), 진달래(페미디아), 최승준(국민대학교). 도큐멘테이션: 차민지(라플스국제디자인학교). 서울시립미술관. 2016. 10. 08. 사진: 김익현, 홍철기

〈한국 인터넷 관광 안내서〉는 한국 인터넷의 역사를 사용자이자 제작자의 시점, 그리고 내부인이자 관찰자의 시점에서 살펴보려는 시도이다. 이 프로젝트는 사람들이 인터넷을 받아들이고 제작에 참여하기 위해 사용한 소프트웨어 인터페이스를 중심으로, 기술 조건, 이용자, 업무 수행 방식, 정치·경제적 이해관계 등 다양한 사회적 요소들이 어떻게 한국 인터넷의 특수성을 형성해 왔는지를 보여주는 장면들을 수집한다.

공개 토크 “한국 인터넷 관광의 날”은 상호보완적인 두 가지 관점에서 구성된다. 1부는 국가 정책의 결과로 주어진 환경이라는 측면에서 인터넷을 바라보고, 액티브엑스와 공인인증서로 대표되는 관(官) 주도의 인터넷 환경을 살펴본다. 2부는 인터넷을 개인의 경험과 활동의 장으로 바라보며, 개별 사용자들의 인터넷 사용 행태를 제작, 커뮤니티, 온라인 페미니즘이라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논의한다.

오늘
|
내일
|
스크린은 보호할 가치가 있습니다. 또는 스크린을 보호할 가치를 만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