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편적으로 죽음(死)은 생(生)에 대비되는 개념으로 존재의 소멸과 움직임의 종결을 의미한다. 그러나 인류 역사에서 죽음은 삶의 근원적인 의미를 질문하고, 인간의 내면이나 영적 …
SMB에서 영상은 비디오, 영상 설치, 16mm와 35mm 필름과 영화까지 매체로서 영상이 갖는 물질적이고 기법적인 조건을 유지하면서, 전시의 장소 특정적 맥락, 관객과의 …
SMB08 《귀신 간첩 할머니》(2014)는 귀신과 유령을 역사적 이데올로기, 아시아의 종교문화, 반복해서 돌아오는 고통의 기억 혹은 공식 역사서술에서 누락된 존재의 은유로 …
보편적인 시간의 개념에서 미래는 아직 도래하지 않은 순간이며 미확정성과 동시에 가능성을 의미한다. SMB09 《네리리 키르르 하라라》(2016) 에서는 동시대 미술의 주요 …
1990년대에 등장한 용어로, 주로 정보 통신 기술을 기반에 둔 새로운 매체를 통해 이루어지는 소통과 경험의 방식을 일컫는다. 이 용어가 처음 도입되던 시기에는 기존의 미디어와 …
보편적인 의미에서 특정한 순서에 따라 구성되는 하나의 체계를 일컫는다. 현대미술의 맥락에서 프로그램은 특정한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적정 값을 입력하여 순서에 따라 벌어지는 전시, …
SMB는 서울시 지방재정으로 운영되기에 매년 서울시와 시의회에게 사업 계획에 관한 동의를 얻고 서울시와 시의회의 승인 절차를 거쳐 예산을 편성받는다. 공공 예산의 집행과 관련된 …
사회학자 서동진은 『비동맹 독본』(2020) 의 서문 「눈을 닦으며: 서문을 대신하여」에서 탈식민과 근대성의 실험이 이루어진 제3세계(글로벌 사우스)에서 기억을 쫓는 역사 서술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