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령술
프랑스어로 ‘앉다’라는 뜻을 가진 고대어 seoir에서 유래한 단어로, 영매를 통해 죽은 자나 다른 세계의 존재와 접촉을 시도하는 사람들의 모임을 의미한다. 서구 근대주의의 출현과 급속한 산업화가 공동체의 위기를 초래하면서, 사람들은 매개되고, 치유하며, 부재하는 것에 닿고자 하는 열망을 갖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변화는 영화 상영, 영성주의, 정신분석 세션과 같은 강령적 실천과 경험과 기술에 관한 주목으로 이어진다. 특히 유럽 아방가르드의 초현실주의 운동은 예술의 영역에서 사람들의 상상력을 자극하며 강령술이 사회 전방위로 확장되는데 기여하였다. SMB13 《강령: 영혼의 기술》(2025)은 다양한 신앙 체계, 종교적 관습, 민속 전통이 풍부한 한국을 배경으로 예술과 기술, 물질과 비물질적 세계를 연결하는 매개체이자, 현재의 세상을 비판으로 접근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강령술을 제안한다.
관련 자료
-
제13회 서울미디어시티비엔날레 《강령: 영혼의 기술》2025.08.26 – 2025.11.23
-
SMB13가이드북《강령: 영혼의 기술》 안내 책자서울시립미술관
-
SMB13인쇄물영화 프로그램 및 옥상 상영회서울시립미술관
-
SMB13인쇄물색채 선언서울시립미술관
-
SMB13인쇄물《강령: 영혼의 기술》 아이덴티티서울시립미술관
-
SMB13인쇄물「강령을 위한 노트: 영혼의 기술을 향하여」 핸드아웃서울시립미술관, ICI 베를린
-
SMB13인쇄물「야나리: 집 흔들기」 핸드아웃서울시립미술관, 도쿄 오이에이 큐레토리얼 소사이어티
-
SMB13인쇄물「강령을 위한 노트」 핸드아웃서울시립미술관
-
SMB13인쇄물「강령을 위한 노트」 아이덴티티서울시립미술관
-
SMB13에세이죽음, 예술, 영성안톤 비도클
-
SMB13에세이개혁 안 된 이미지들할리 에어스
-
SMB13에세이바리공주황루시
-
SMB13에세이에피파니의 반대말은 무엇일까? 동 틀 무렵의 메모요하나 헤드바
-
SMB13에세이변신의 존재자를 소환하기김남시
-
SMB13에세이누가 강령회에서 말하는가?니콜라이 스미르노프
-
SMB13에세이우주의 흔적들: 힐마 아프 클린트의 회화와 그 수용에 관한 단상마리아 린드
-
SMB13에세이천사와 악마다니엘 무지추크
-
SMB13에세이제13회 서울미디어시티비엔날레 색채 선언안톤 비도클, 할리 에어스, 루카스 브라시스키스, 사나 알마제디, 벤 이스텀, 논플레이스 스튜디오, 콜렉티브
-
SMB13기록영상「강령을 위한 노트: 영혼의 기술을 향하여」 기록영상
-
SMB13기록영상「강령을 위한 노트」 3부 기록 영상
-
SMB13기록영상「강령을 위한 노트」 2부 기록 영상
-
SMB13기록영상「강령을 위한 노트」 1부 기록 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