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g city

2001

〈Pig City〉 네덜란드의 돼지 농장에 대한 전망
인류는 (아직도) 잡식성이다. 다가올 미래에 인간의 소비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엄청난 공간이 필요할 것이다. MVRDV의 〈Pig City〉 프로젝트는 도시계획으로 생겨나는 도시인구들의 식량 문제를 바람직한 방법으로 충족시키기 위한 첫걸음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우리도 이미 알고 있듯이, 현재의 육류 생산은 몇몇 문제점들을 드러내고 있다. 동물보호에 관계된 이슈 뿐만 아니라, 환경문제, 생산의 위생과 유지에 대한 문제점들이 대두되고 있다. MVRDV의 프로젝트는 특히 돼지 농장에 초점을 맞춘다.
환경, 복지, 경제와 같은 돼지 농장에 관한 주요 문제 이외에도, 더욱 중대한 문제점들이 있다. 천 육백 오십만 톤의 돼지 고기를 수출하고 있는 네덜란드는 EU에서 가장 큰 돈육 수출국 중의 하나이다. 국내 소비량과 수출량을 모두 만족시키기 위해서 네덜란드는 연간 천 9백만 마리의 식용돼지가 필요하다.
만약 네덜란드가 계속해서 이러한 수준의 돼지 고기 생산량을 유지하고 또 이 돼지고기들이 생태학적 방법으로 생산되려면, 거의 75%에 해당하는 국토 면적이 필요하다. 이것은 심각한 공간 분배의 문제를 야기시킨다. 토지를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농업적이고 도시적인 관점에서 어떻게 돼지 농장을 재조정할 수 있는가? 돼지 농장이 즉각적으로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돼지가 양육되는 환경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이 있는가?
널리 적용되는 유기농에 대한 EU의 지침을 따르고, 앞서 언급한 문제점들을 고려해서 우리는 기본적인 유기적 돼지 농장을 설계했다. 이 유기적 농장은 돼지 사육 시의 복지문제에 대한 해결책이 된다. 돼지들은 기존보다 두 배 이상 넓은 공간을 차지할 수 있고. 또 돼지들에게 보다 나은 시설과 편안함이 주어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공간 문제 외에도 돼지의 건강유지, 사료 공급, 놀이의 제공, 재생산, 위생, 사회적 반응과 감시 등의 문제도 해결되어야 한다. 이 모든 것들이 유기적 농장을 설계하는데 있어서 강조되는 부분이다.
유기적 농장은 복지문제에 대한 해결책이 될 수 있지만, 과연 어떻게 운송, 토지 사용, 환경 등의 문제에 맞추어 적용될 수 있는가? 우리는 돼지 생산 과정에서 운송과정을 생략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그리고 이것은 모든 생산 요소들을 폐쇄된 생산 체계 안의 한 장소에 집중시키고 그 자리에서 돼지 도살하는 방법을 통해 실행될 수 있다.
유기적 농장의 모든 필요 시설들을 도살장 내에서 분리된 위 층에 집중시킴으로써 모든 운송은 엘리베이터를 통해 이루어진다. 돼지들은 더 이상 트럭으로 운송될 때처럼 서로의 위로 넘어지고 부대끼지 않아도 된다. 결과적으로 매우 인간적인 방법으로 대량의 고기를 생산하는 돼지 타워가 만들어지는 것이다.
현재의 수출 수준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44개의 돼지 타워가 필요하다. 이 타워들은 주변의 곡물 밭까지 포함해 국토공간의 5 %를 차지한다. 그리고 수송을 최적화하기 위해서는 마스블라크테와 같은 항구에 타워를 만들어야 한다. 44개의 돼지사육 타워가 들어선 한 공간에 집중된 돼지의 총 수출에 대해 생각해 보라. 진정한 〈Pig City〉인 것이다.

오늘
|
내일
|
스크린은 보호할 가치가 있습니다. 또는 스크린을 보호할 가치를 만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