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
시, language for new moons, 제시 천 시, language for new moons, Jesse Chun

제시 천, 〈새로운 달들에 대한 노트들(a reader); 새로운 달들은 눈에 잘 보이지 않는다; 나의 할머니 이옥선, 법명 정각행의 노트들; 역사에 대한 다른 노트들; 나의 답장들 - 같이 말하기에 대해서 -〉, 2023. 스튜디오 설치 부분. 작가 제공 Jesse Chun, notes on new moons / oak / sun (new moons are often invisible to the naked eye; notes by my grandmother Lee Oak Sun - buddhist name Jeong Gak Haeng; other notes on history; my offerings - on speaking together), 2023. Part of studio installation, 2023. Courtesy of the artist

본 작가와의 대화는 서울역사박물관에서 선보이는 제시 천 작가의 서베이 전시 <시, language for new moons>에 관한 대담입니다. 제시 천은 오랜 기간 동안 언어와 권력에 관한 미묘한 지점들을 포괄적으로 질문해 왔습니다. 한국에서 태어나 홍콩, 캐나다, 미국 등 타지에서 거주하며 작가는 비영어권 언어와 비서구권 서사나 역사들이 소외되는 지점을 발견합니다. 외가의 가족사, 한국의 민속 문학, 출생지와의 유예된 연결성에서 작가는 언어의 이면에서 불거지는 역학관계를 드러내고 다양한 우주관을 맵핑합니다. 언어를 음소와 문자 단위로 해체하여 사회적 구조나 기존의 기호에 균열을 더하여 언어적 추상화를 포괄하는 작품들은 서울역사박물관이 가진 맥락 안에서, 서울 곳곳에서 보존되고, 복잡하게 얽혀있으며, 헌신하는 새로운 역사와 시학을 보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합니다.

This discussion between Artistic Director Rachael Rakes and artist Jesse Chun focuses on the artist’s survey exhibition at the Seoul Museum of History, 시, language for new moons, which demonstrates the artist’s longtime engagement with questions of language and power. Chun was born in Korea and subsequently lived in Hong Kong, Canada, and the United States. While abroad, she began to observe the marginalization of non-English languages and non-Western narratives and histories. Drawing from sustained connections to her own matrilineal history, Korean folk literature, and the country of her birth, Chun uncovers the “other side” of language, mapping its various cosmologies. By deconstructing languages into fragments of phonemes, characters, images, and constellations, Chun embraces linguistic abstractions that fracture its social and semiotic structures. In the context of the Seoul Museum of History, Chun’s works unfold new ways of seeing the histories and poetics that percolate through Seoul, arising from preservation, complexity, devotion, and reinven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