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2회 서울미디어시티비엔날레 사전프로그램(프리비엔날레)

2022.07.21 – 2023.01.29
제12회 서울미디어시티비엔날레 사전프로그램(프리비엔날레) I 《정거장》 포스터, 2022. 디자인: 마바사(안마노, 김지섭)
제12회 서울미디어시티비엔날레 사전프로그램(프리비엔날레) I 《정거장》 전시 전경. 서울시립 남서울미술관, 2022. 사진: 이의록
홍순철, 〈도시폭포〉, 1996(2022 재제작). 단채널 비디오(사운드), 모니터와 변기. 가변 크기(모니터와 변기 3조), 8분 55초(반복 재생). 재제작: 권동현, 김경호. 제12회 서울미디어시티프리비엔날레 재제작 지원. 작가 제공. 제12회 서울미디어시티비엔날레 사전프로그램(프리비엔날레) I 《정거장》. 서울시립 남서울미술관. 2022. 사진: 이의록
《서울미디어시티비엔날레》 출판물, 1996-2022. 각종 출판물. 가변크기. 서울시립미술관 제공. 제12회 서울미디어시티비엔날레 사전프로그램(프리비엔날레) I 《정거장》. 서울시립 남서울미술관. 2022. 사진: 이의록
강홍구, 〈해수욕장 시리즈〉, 2002(2022 재제작). 디지털 사진. 각 61 × 183 cm(2점). 제12회 서울미디어시티프리비엔날레 재제작 지원. 작가 제공. 제12회 서울미디어시티비엔날레 사전프로그램(프리비엔날레) I 《정거장》. 서울시립 남서울미술관. 2022. 사진: 이의록
제12회 서울미디어시티비엔날레 사전프로그램(프리비엔날레) I 《정거장》 전시 전경. 서울시립 남서울미술관, 2022. 사진: 이의록
제12회 서울미디어시티비엔날레 사전프로그램(프리비엔날레) I 《정거장》 전시 전경. 서울시립 남서울미술관, 2022. 사진: 이의록
제1회 도시와 영상 《1988-2002》 기록 영상, 단채널 비디오. 서울시립미술관 제공. 제12회 서울미디어시티비엔날레 사전프로그램(프리비엔날레) I 《정거장》. 서울시립 남서울미술관. 2022. 사진: 이의록
이규철, 〈공간과 시지각 1과 2를 위한 작업환경 기록〉, 1986. 종이에 인화. 각 11.5 × 17 cm(2점). 서울시립미술관 소장. 제12회 서울미디어시티비엔날레 사전프로그램(프리비엔날레) I 《정거장》. 서울시립 남서울미술관. 2022. 사진: 이의록
제12회 서울미디어시티비엔날레 사전프로그램(프리비엔날레) I 《정거장》 전시 전경. 서울시립 남서울미술관, 2022. 사진: 이의록
(왼쪽부터) 이규철, 〈공간과 시지각 1988-1〉, 1988. 종이에 인화. 40 × 80 cm; 〈공간과 시지각 1988-4〉, 1988. 종이에 인화. 75.5 × 105 cm. 개인 소장. 제12회 서울미디어시티비엔날레 사전프로그램(프리비엔날레) I 《정거장》. 서울시립 남서울미술관. 2022. 사진: 이의록
이규철, 연구 노트와 작품 기록, 1987-1994. 개인 소장. 제12회 서울미디어시티비엔날레 사전프로그램(프리비엔날레) I 《정거장》. 서울시립 남서울미술관. 2022. 사진: 이의록
백남준, 〈시장〉, 2000. 복합 매체 설치, 2채널 비디오(사운드), 모니터. 340 × 400 × 100 cm(모니터 25대). 작가 및 미디어_시티 서울 2000 조직위원회 제공. 서울시립미술관 소장. 제12회 서울미디어시티비엔날레 사전프로그램(프리비엔날레) I 《정거장》. 서울시립 남서울미술관. 2022. 사진: 이의록
홍철기, 〈둥근 규철의 안쪽〉, 2022. 비디오 조각. 너비 120 cm(조각), 3분(프로젝션 맵핑 영상). 제12회 서울미디어시티프리비엔날레 커미션. 작가 제공. 제12회 서울미디어시티비엔날레 사전프로그램(프리비엔날레) I 《정거장》. 서울시립 남서울미술관. 2022. 사진: 이의록
홍철기, 〈가벽〉, 2022. 비디오 조각. 253 × 600 cm(조각), 3분(프로젝션 맵핑 영상). 제12회 서울미디어시티프리비엔날레 커미션. 작가 제공. 제12회 서울미디어시티비엔날레 사전프로그램(프리비엔날레) I 《정거장》. 서울시립 남서울미술관. 2022. 사진: 이의록
글림워커스, 〈SMB 리믹스〉, 2022. 비디오(HD), 이미지 콜라주. 3분 5초(서울), 4분(비엔날레), 3분 22초(미디어 아트). 제12회 서울미디어시티프리비엔날레 커미션. 작가 제공. 제12회 서울미디어시티비엔날레 사전프로그램(프리비엔날레) I 《정거장》. 서울시립 남서울미술관, 서울시내 문화 공간 8곳. 2022. 사진: 이의록
《서울미디어시티비엔날레》 출판물, 1996-2022. 각종 출판물. 가변크기. 서울시립미술관 제공. 제12회 서울미디어시티비엔날레 사전프로그램(프리비엔날레) I 《정거장》. 서울시립 남서울미술관, 서울시내 문화 공간 8곳. 2022. 사진: 이의록
제12회 서울미디어시티비엔날레 사전프로그램(프리비엔날레) II 심포지엄 「테라인포밍」. 참여자: 강민형, 권동현×권세정, 권진, 나도, 나샤트 아완, 라디오 EE, 레이첼 레이크스, 세바 칼푸케오, 소피아 듀론, 왕보, 자이 탕, 최찬숙, 켄트 찬, 홍철기. 서울시립미술관. 2022. 12. 10 - 12. 11. 사진: 이의록
제12회 서울미디어시티비엔날레 사전프로그램(프리비엔날레) II 심포지엄 「테라인포밍」. 참여자: 강민형, 권동현×권세정, 권진, 나도, 나샤트 아완, 라디오 EE, 레이첼 레이크스, 세바 칼푸케오, 소피아 듀론, 왕보, 자이 탕, 최찬숙, 켄트 찬, 홍철기. 서울시립미술관. 2022. 12. 10 - 12. 11. 사진: 이의록

2022년 7월 21일부터 2023년 1월 29일까지 서울시립미술관, 서울시립 남서울미술관과 서울시내 문화 공간 8곳에서 개최된 제12회 서울미디어시티비엔날레 사전프로그램(프리비엔날레)은 지난 비엔날레의 주요 데이터를 중심으로 미술, 도시와 미디어 환경의 변화와 평행하게 진행된 비엔날레의 전개 과정을 살펴보는 『서울미디어시티비엔날레 1996~2022 보고서』에서 출발했다. 서울시립 남서울미술관에서 개최된 《정거장》(2021.7.21.~2023.1.29.)은 보고서에 수록된 자료를 확장하여 비엔날레의 주요 작품과 프로그램을 통해 미디어아트의 경험적이고 인식적인 경로를 살펴보았고, 서울시립미술관에서 개최된《테라인포밍》(2022.12.10.~11.)은 2023년에 개최될 행사에 관한 생각, 이해의 방법, 미술적 실천과 미학을 예고하는 자리였다.

오늘
|
내일
|
스크린은 보호할 가치가 있습니다. 또는 스크린을 보호할 가치를 만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