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2회 서울미디어시티비엔날레 《이것 역시 지도》 포스터, 2023. 디자인: 로라 리샤르, 배소현
이끼바위쿠르르, 〈땅탑〉, 2023. 흙, 가변 크기. ‘그라운드’ 사운드: 최태현. 제12회 서울미디어시티비엔날레 제작 지원. 작가 제공. 제12회 서울미디어시티비엔날레 《이것 역시 지도》. 서울시립미술관. 2023. 사진: 글림워커스
토크와세 다이슨, 〈나는 그 거리에 소속된다 3,(힘의 곱셈)〉, 2023. 나무합판, 금속, 아크릴. 가변 크기. 건축 어시스턴트: 아누셰 이라비. 현지 프로덕션: 염철호, 정진욱, 조재홍. 제12회 서울미디어시티비엔날레 제작 지원. 작가 제공. 제12회 서울미디어시티비엔날레 《이것 역시 지도》. 서울시립미술관. 2023. 사진: 글림워커스
토크와세 다이슨, 〈쿠지차굴리아(자유를 계획하기)〉, 2023. 나무, 종이에 흑연, 플렉시글라스, 종이에 잉크, 아크릴릭. 가변 크기. 제12회 서울미디어시티비엔날레 제작 지원. 작가 제공. 서울시립미술관 소장. 제12회 서울미디어시티비엔날레 《이것 역시 지도》. 서울시립미술관. 2023. 사진: 글림워커스
아구스티나 우드게이트, 〈신세계 지도〉, 2023. 주문제작 자동페이지 플리퍼, 스캐너, 주문제작 생성시스템. 가변 크기. AI 스크립트와 이미지 생성 시스템 개발: 브와제이 코토프스키. 3D 모델링과 로보틱스: 헤르만 페레즈, 이성은. 전기 디자인: 가브리엘라 문기아. 제12회 서울미디어시티비엔날레, 부에노스아이레스 바로 및 아담 미츠키에비츠 문화원 제작 지원. 작가 및 부에노스아이레스 바로 제공. 서울시립미술관 소장. 제12회 서울미디어시티비엔날레 《이것 역시 지도》. 서울시립미술관. 2023. 사진: 글림워커스
(앞쪽부터) 놀란 오스왈드 데니스, 〈아토피아 필드〉, 2021. 바닥 다이어그램. 500 × 750 cm. 카페트 제작: 얀카페트, 서울. 팔레 드 도쿄 커미션; 전현선, 〈이 선을 넘어도 돼〉, 2023. 캔버스에 수채, 나무 프레임, 알루미늄 스탠드. 337 × 728cm(각 112 × 145.5cm). 작품 연결장치 제작: WAM. 제12회 서울미디어시티비엔날레 제작 지원. 작가 제공. 제12회 서울미디어시티비엔날레 《이것 역시 지도》. 서울시립미술관. 2023. 사진: 글림워커스
쉔신, 〈ས་གཞི་སྔོན་པོ་འགྱུར། [지구는 푸르네]〉, 2022. 3채널 비디오(사운드). 38분 39초. 티베트어 번역: སྐྱིད་དར་འཛོམས། [스키 트라좀사]. 목소리: སྐྱིད་དར་འཛོམས [스키 트라좀사], 쉔신. 극장 조명 기사: 카일 가벨. 색채: 제이슨 R. 모팻. 사운드 믹스: 요헨 예즈세크. 한글 번역: 문경원. 스위스 인스티튜트, 뉴욕; 맥나이트 파운데이션 더 넥스트 스텝 펀드; 시스터 데니스 프랜드럽 레지던시 프로그램, 미네소타; 타임스 미술관, 광저우; 마델린 갤러리, 상하이 제작 지원. 작가 제공. 제12회 서울미디어시티비엔날레 《이것 역시 지도》. 서울시립미술관. 2023. 사진: 글림워커스
(왼쪽부터) 엘레나 다미아니, 〈달보다 빛나는〉, 2016. 단채널 비디오 프로젝션(사운드). 8분 16초. 작가 제공; 찬나 호르비츠, 〈오렌지 그리드〉, 2013-2023. 벽과 바닥면 설치, 격자 무늬 벽지와 검은 목재 다각형. 373.3 × 1831 × 549.3 cm. 제12회 서울미디어시티비엔날레 제작 지원. 리손 갤러리, 뉴욕, LA, 상하이와 베이징 제공. 제12회 서울미디어시티비엔날레 《이것 역시 지도》. 서울시립미술관. 2023. 사진: 글림워커스
제12회 서울미디어시티비엔날레 《이것 역시 지도》 전시 전경, 서울시립미술관 3층. 2023. 09. 21 - 11. 19. 사진: 글림워커스
왕보, 〈인테리어 분수〉, 2022-2023. 철근, LED등, 인테리어용 조화, 거울, 벽지, 사운드. 400 × 450 cm. 현지 재제작: 디자인 본. 제12회 서울미디어시티비엔날레 제작 지원. 작가 제공. 제12회 서울미디어시티비엔날레 《이것 역시 지도》. 서울시립미술관. 2023. 사진: 글림워커스
프랑소와 노체, 〈코어 덤프〉, 2018-2019. 4채널 비디오, 전자 폐기물 설치. 가변 크기 (설치). 46분(비디오, 반복 재생). 카메라: 안톤 숄츠, 클레오피 모세스. 출연: 밤바 디아뉴, 달리 음부디, 첸치헝, 아미타 예 펑. 사운드 디자인: 케이던 반 에크. 디지털 어스 펠로우십; 네덜란드 비영리기구 히보스; 스웨덴 국제개발협력청; 영국문화원; 독일연방문화재단 TURN기금 비디오 제작 지원. 케르 티오사네, 다카르; 비츠 미술관, 요하네스버그; 카를스루에 미디어 아트 센터 ZKM 비디오 제작 협력. 제12회 서울미디어시티비엔날레 설치 제작 지원. 작가 제공. 제12회 서울미디어시티비엔날레 《이것 역시 지도》. 서울시립미술관. 2023. 사진: 글림워커스
최찬숙, 〈THE TUMBLE〉, 2023. 2채널 비디오 설치(4K, 컬러, 사운드), 단채널 비디오 설치(HD, 컬러, 사운드), 아카이브. 12분(2채널 비디오, 반복 재생), 9분(단채널 비디오), 가변 크기(아카이브). 제12회 서울미디어시티비엔날레 커미션 및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사전제작 지원. 작가 제공. 제12회 서울미디어시티비엔날레 《이것 역시 지도》. 서울시립미술관. 2023. 사진: 글림워커스
켄트 찬, 〈온난 전선〉, 2021. 4채널 비디오, 거울 플렉시글라스에 실크스크린, 거울 플렉시글라스. 각 59.4 × 84.1cm(플렉시글라스 4점). 제12회 서울미디어시티비엔날레; 예술위원회, 싱가포르 제작 지원. 작가 제공. 제12회 서울미디어시티비엔날레 《이것 역시 지도》. 서울시립미술관. 2023. 사진: 글림워커스
제시 천, 〈시: sea〉, 2022. 흰색 MDF 구조물에 단채널 비디오, 2개의 거울, 돌. 가변 크기(설치). 2분 10초. 현지 제작: 조재홍, 염철호, 정진욱. 제12회 서울미디어시티비엔날레 제작 지원. 작가 제공. 제12회 서울미디어시티비엔날레 《이것 역시 지도》. 서울역사박물관 기획전시실 B. 2023. 사진: 글림워커스
로-데프 필름팩토리 (프랑소와 노체, 에이미 루이스 윌슨), 〈지하 흔적 아카이브〉, 2021-2023. VR 비디오 설치, 벽화. 가변 크기(벽화). 15분(VR 비디오). 벽화 협력: 조-이브 살란캉 사-뇰, 카엘로 몰레페. 르 리외 유니크를 위한 울리마타 게예 커미션 및 제12회 서울미디어시티비엔날레 제작 지원. 작가 제공. 제12회 서울미디어시티비엔날레 《이것 역시 지도》. SeMA 벙커. 2023. 사진: 글림워커스
전현선, 〈이름 없는 산속으로〉, 2023. 벽화. 267 × 1130cm(내벽), 267 × 670cm(유리벽). 제12회 서울미디어시티비엔날레 커미션. 작가 제공. 제12회 서울미디어시티비엔날레 《이것 역시 지도》. 스페이스mm. 2023. 사진: 글림워커스
라야 마틴, 〈아르스 콜로니아〉, 2021. 단채널 비디오(아날로그 영상과 손으로 채색한 35mm 필름). 1분 12초. 로테르담 국제영화제 허버트 발스 펀드 커미션. 작가 제공. 제12회 서울미디어시티비엔날레 《이것 역시 지도》. 서울로미디어캔버스. 2023. 사진: 글림워커스